커뮤니티
새로나온 2025년형 BMW 스포츠 모델 분석 | S1000RR, M1000RR, S1000R, M1000R
2024.11.07 15:00


👆 어떤 오토바이 찾으세요? 👆
위 배너를 클릭하면
매일 5,500대 이상 업데이트되는
중고 오토바이를 한 번에 볼 수 있어요!
🌟 모든 바이크 보러가기 🌟
안녕하세요, 라이트바겐입니다. 오늘은 2025년형으로 발표된 BMW의 직렬 4기통 엔진을 사용하는 스포츠 모델 4종에 대한 소개하려고 합니다. :) 물론 정확한 옵션 적용과 사양은 수입사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는 점, 확인해주세요!
MODEL 01.
S 1000 RR

BMW의 슈퍼스포츠 모델로 많은 라이더의 관심과 선택을 받아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S 1000 RR은 강화된 환경규제를 통과하면서도 엔진의 출력은 그대로 유지 되었습니다.
차체의 디자인은 이전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헤드라이트 아래쪽과 사이드카울에서의 형상변화가 크게 느껴집니다. 마치 별도의 옵션처럼 튀는 느낌을 보여주던 윙렛이 차체의 페어링 컬러 및 형태를 이어받으면서 일체감을 확대시켰습니다.

그리고 프런트 휀더는 레이스와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 캘리퍼의 뜨거운 열기를 식혀줄 덕트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반복적인 강한 브레이킹 시 마찰력으로 인해 달궈진 캘리퍼의 브레이크액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는 베이퍼 락(Vapor Lock) 현상을 방지 하기 위한 조치로 예상됩니다.
엔진을 덮은 페어링은 좌우 비대칭형 구조로 이는 2009년 처음 출시한 이후로 S 1000 RR의 전통처럼 이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외형적인 변화는 크지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3가지의 레이스 프로 모드가 적용된 프로 라이딩 모드가 기본적용되었으며 엔진브레이크 컨트롤과 힐 스타트 컨트롤 프로 기능이 구현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슬라이드 컨트롤, 슬립컨트롤 등 이전 세대에서 별도의 옵션으로 제공되던 기능이 기본적용되어 라이더는 더욱 더 다양한 전자제어 기능을 사용하면서 보다 안전하게, 혹은 보다 과감하게 라이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다.
또한 스로틀 그립의 작동 각도 범위를 72도에서 58도로 줄이면서 적은 손목의 움직임으로 출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가속과 감속이 반복되면서 넓은 범위를 움직일때의 손목 부담도 줄일 수 있고 풀악셀과 같은 상황에서 단번에 스로틀 그립을 끝까지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 입니다.
시트고는 832mm로 기존 824mm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기본 스탠다드 모델의 경우 블랙스톤 메탈릭 색상이며 스포츠 모델은 블루스톤 메탈릭 컬러에 알루미늄 단조휠을 사용하며 M패키지 모델은 카본휠과 더불어 블루컬러의 M캘리퍼를 프론트휠에 적용했습니다.
차량중량은 각각의 파츠가 달라지면서 198kg, 195.4kg, 193.5kg으로 구분됩니다. 엔진의 최고출력은 210마력, 최대토크는 113Nm 입니다.


*해당 모델은 2025 버전이 아닌 2024 버전임을 알려드립니다.
MODEL 02.
M 1000 RR

BMW가 자사의 차량 중 고성능, 하이퍼포먼스 차량에 붙이는 M을 처음으로 바이크에 적용한 M 1000 RR은 2021년 처음 출시되었으며 M이라는 이름답게 기존의 S 1000 RR보다 높은 출력에 차량 중량은 줄여 더 뛰어난 퍼포먼스를 품고 있습니다.
외형적으로는 기본 S 1000 RR 대비 윙렛의 추가 외에는 눈에 띄지 않았지만 2023년 차체 외장부의 페어링을 전체적으로 변경했어요. 2025년형의 M 1000 RR은 엔진의 압축비는 13.5:1에서 14.5:1로 높이고 엔진 내부의 부품에 대해 설계를 변경하면서 기존 모델 대비 6마력을 상승시켰으며 엔진의 최대 회전수는 15,100rpm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왼쪽 엔진마운트의 위치도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서 엔진 하우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엔진 출력곡선을 보면 약 5,000rpm에서부터 치솟는 토크는 최대출력이 발휘되는 회전수까지도 유지되는 특성을 보여 고회전에만 집중되어 있지 않은 형태를 보여줍니다. 즉, 어느 시점이든 라이더가 원한다면 스로틀 그립의 조작에 바이크는 적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게 됩니다.
초기에는 단순히 트랙션 유지를 위해 점화를 차단 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던 트랙션 컨트롤은 이제 더 다양한 상황에서 라이더의 의도와 의지를 반영하게 됩니다. 리어 휠이 미끄러지는 상황이 만약 라이더가 의도한 상황이라면 더 적극적으로 리어를 미끌어트리고 다이나믹한 장면을 연출할 수 있게 만듭니다.
드리프트라는 주행법으로 카운터스티어링을 유지한 채 리어를 미끌어지게 하면서 코너를 돌아나가거나 리어브레이크로 리어휠을 일부러 잠궈 미끌어트리는 락 슬라이드도 가능한 방식으로 DTC와 ABS에 대한 개입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스티어링 앵글 센서와 IMU의 조합으로 가능하겠죠.

이전 세대의 M 1000 RR은 차체를 덮는 페어링 중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에 대해 카본 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고급스러움을 감추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2025년형에서는 다소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새롭게 설계된 M 윙렛 3.0과 어퍼스테이는 카본 소재를 사용했지만 대부분의 페어링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게 됩니다. 다만, 디자인 자체는 이전 세대의 M 1000 RR의 매끈한 모습을 이어나가고 있으면서 프론트 중앙에 위치한 에어덕트에서 윈드스크린의 결합 부까지의 형상은 조금 변경이 되었습니다.

M 1000 RR 두가지 모델은 공통적으로 M 캘리퍼와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아크라포빅 머플러를 사용하며 865mm의 상당히 높은 시트고로 세팅되었습니다.
기본 사양 대비 M 컴페티션 사양에서의 변화는 연료탱크 주변카울, 프론트 휀더, 리어 케노피, 소기어 커버, 체인가드, 리어허거 등이 카본 소재로 변경되며 좌우 래버와 라이더 스탭은 길레스툴링의 절삭파츠로 교체됩니다.
또한 경량화 중 최고효과를 바랄 수 있는 카본 휠도 적용 됩니다. M 1000 RR의 차량중량은 194kg이며 최고출력은 218마력, 최대토크는 113Nm 입니다.
*해당 모델은 2025 버전이 아닌 2023 버전임을 알려드립니다.
MODEL 03
S 1000 R


S 1000 R은 슈퍼스포츠의 전경자세는 부담스럽지만 높은 출력이나 스포츠 성능을 원하는 라이더가 선택할 수 있는 로드스터 계열은 일반적인 장르로 이야기하자면 스포츠 네이키드 정도가 되겠습니다.
2021년형으로 발표된 이후 4년만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인 2025년형 S 1000 R은 외부적으로는 헤드라이트 유닛에 국한된 변경점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상하향 발광부가 위 아래로 구분되어 있던 이전 방식에서 S 1000 RR의 헤드라이트 유닛 발광부 유닛을 함께 쓰는듯한 인상을 남기는 형태를 갖고 좌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프로젝션 방식이 내장된 좌우 유닛은 동시에 두개 모두 켜지면서 내부적으로 상향과 하향이 일체형이며 하단부의 라인을 따라 DRL이 점등됩니다.
엔진의 출력은 이전 세대 대비 5마력 상승했으며 최종 기어비를 변경해 더욱 빠른 가속에 적합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S 1000 RR이나 M 1000 RR과 마찬가지로 스로틀 그립의 작동범위를 변경했습니다.

다른 모델들이 2023년 페이스 리프트가 있었지만 S 1000 R의 경우 2025년형에서 부분변경이 진행되어 넘버플레이트 홀더가 짧아졌습니다. 클러치와 제너레이터 커버, 그리고 서브프레임의 색상이 검정색으로 변경된 것도 하나의 포인트라고 할 수는 있겠습니다.
기본모델의 색상은 블랙스톰 메탈릭, 스포츠 모델은 블루파이어/무겔로 옐로우 컬러, M 페키지는 라이트화이트 유니/M 모터스포츠 컬러로 구분되며 시트고는 810mm, 차량 중량은 199kg 입니다. 최고출력은 170마력, 최대토크는 114Nm 입니다.



*해당 모델은 2025 버전이 아닌 2024 버전임을 알려드립니다.
MODEL 04
M 1000 R

2023년 처음 발표된 모델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로 2025년형 S 1000 R의 외형적 변화점 외에도 S 1000 RR의 출력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한 M 1000 R은 2023년형 M 1000 R에 적용되었던 윙렛을 그대로 이어받고 페어링의 디자인은 유지하되 리어프레임과 스윙암의 색상을 플레티넘 그레이 컬러로 변경하고 클러치와 제너레이터 커버의 색상은 검정색으로 채택했습니다.
S 1000 R 대비 프론트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도 레디얼 방식으로 변경되고 프론트 레버가 기본적으로 M절삭가공 파츠를 적용했으며 브램보 제품 대신 M 캘리퍼가 적용되며 아크라포빅의 머플러가 장착됩니다.

기본 사양은 알루미늄 단조휠을 사용하면서 라이트화이트 유니/M 모터스포츠 컬러와 무광 화이트 알루미늄 메탈릭 컬러를 선택할 수 있으며 M 컴페티션 사양은 블랙스톰 컬러에 메타바이저, 윙렛, 프런트 휀더, 연료탱크 주변 카울, 리어허거와 체인가드, 소기어 커버에 카본 소재를 적용했으며 M 절삭스탭도 함께 사용합니다. 물론 카본 휠도 빠질수는 없겠죠.
BMW에서 공개된 자료상 공식적인 언급은 없지만 사진으로 비교시 M 1000 R의 경우 기본 S 1000 R과 비교시 탑브릿지, 핸들파이프 홀더에서 가공방법이나 핸들파이프의 길이 상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공개된 문서상 차량중량은 199kg로 S 1000 R과 동일하고 시트고는 830mm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엔진의 최고출력은 210마력, 최대토크는 113Nm 입니다.
카본이나 절삭파츠의 기본 장착 여부는 배포된 사진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것으로 실 사양과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퀵시프트 어시스트는 이번 영상에서 언급한 모든 차종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나 키리스 시스템, 전자제어 서스펜션인 DDC, 크루즈 컨트롤 등 몇몇 전자제어 기능의 포함 여부는 수입사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당 모델은 2025 버전이 아닌 2023 버전임을 알려드립니다.
오늘은 새롭게 발표된 BMW의 S 1000 시리즈 4종에 대한 소개를 진행해보았는데요. 어떠셨나요? 새롭게 출시된 바이크들이 기대되시나요? 여러분들의 바이크 선택의 폭을 넓여드리기 위해 저희는 다음 콘텐츠 에서도 바이크 관련 새로운 소식을 한 가득 갖고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모두들 안라하세요!!

